요한계시록의 세계관, 유대 묵시와 헬라 철학의 만남

요한의 세계관: 유대인가 헬라인가 요한계시록은 유대 묵시문학의 전통 을 이어받았으면서도, 당시 헬라 철학의 영향 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복합적 세계관을 담고 있습니다. 요한은 과연 유대인의 정체성을 지닌 묵시적 선지자 인가, 아니면 헬라적 사고에 익숙했던 철학적 사상가 인가? 이 질문은 단지 요한 개인의 배경을 묻는 것이 아니라, 요한계시록이라는 책의 해석에 중요한 관점을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요한계시록에 드러난 유대 묵시 사상과 헬라 철학의 흔적을 살펴보고, 요한이 이 두 사조 사이에서 어떻게 독특한 신학을 전개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요한계시록에 드러난 유대 묵시 사상 요한계시록은 본질적으로 유대 묵시문학의 형식을 따릅니다. 유대 묵시문학은 주로 바벨론 포로기 이후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발전하였으며, 고난받는 의인들에게 하나님의 정의로운 심판과 종말의 구원을 약속하는 문학 장르입니다. 이러한 문학은 당시 이스라엘 백성이 겪었던 고난과 불의한 통치자들 아래서의 억압 속에서 비롯 되었고, 하나님의 개입을 통한 역사적 반전과 최종적 구속을 약속하며 그들에게 소망을 심어주었습니다. 다니엘서, 에녹서, 바룩서 등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묵시문학의 대표적 문헌 소개 다니엘서 는 구약성경에 포함된 책으로, 다니엘이라는 인물이 바벨론 포로기 동안 겪은 환상과 예언을 기록한 묵시문학적 성격을 지닌 책입니다. 다니엘서 7장부터는 네 짐승의 환상, 인자 같은 이의 등장, 마지막 때에 대한 예언 등이 등장하며, 하나님의 영원한 나라가 세워질 것을 예고합니다. 에녹서 는 정경에는 포함되지 않은 외경으로, 창세기 5장에 등장하는 에녹이 하늘로 들려 올라가 천상 세계를 보고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계획을 기록한 책입니다. 타락한 천사들의 이야기, 마지막 심판, 메시아의 등장 등의 주제를 담고 있으며, 초기 유대교에서 널리 읽히던 묵시적 문헌입니다. 바룩서 역시 외경에 속하는 책으로, 예레미야 선지자의 서기관 바룩이 기록한 것으로 전해지며, 예루살렘의 멸망과 회복, 하나...